By what authority did Lehi, a non-Levite priest, offer sacrifices?

Paul Y. Hoskisson, associate professor of ancient scripture, Brigham Young University.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ld, God has sought to bless his children by bestowing on his worthy sons the Melchizedek Priesthood, “the Holy Priesthood, after the Order of the Son of God” (D&C 107:3; see also Alma 13:7). Scripture affirms that Adam, Abel, Enoch, Noah, Melchizedek, Abraham, Moses, and others held this priesthood (see D&C 84:14–16, 25; D&C 107:53; Moses 6:67).

The Melchizedek Priesthood was to have continued among the descendants of Israel in order to bless the inhabitants of the earth. Through Moses, for example, God expressed to the children of Israel the desire to make of them a royal generation of priesthood holders (See Ex. 19:5–6). But because the children of Israel were disobedient in the days of Moses, the keys of the Melchizedek Priesthood were withdrawn from them (see Joseph Fielding Smith, Doctrines of Salvation, 3 vols., comp. Bruce R. McConkie, Salt Lake City: Bookcraft, 1954–56, 3:83–85; see also Bruce R. McConkie, The Mortal Messiah, 4 vols., Salt Lake City: Deseret Book Co., 1979–81, 1:60).

Thus, from the days of Moses until the coming of Christ in the meridian of time, the inhabitants of Israel were not generally given the Melchizedek Priesthood, and only the Levites held the Aaronic Priesthood and administered the obligations and duties of the law of Moses.

The Lord, however, did not leave his people, the Israelites, without the guidance of Melchizedek Priesthood leadership. All the prophets held the higher priesthood, having been ordained by the hand of God (see Teachings of the Prophet Joseph Smith, pp. 180–81). It was by right of this higher priesthood that the Old Testament prophets performed their labors in the name of the God of Israel and could officiate in the ordinances of the Aaronic Priesthood, just as today bishops in the Church officiate in an Aaronic Priesthood office by right of the Melchizedek Priesthood.

About 600 B.C., Lehi was called as one of these prophets to preach repentance to the inhabitants of Israel, a people who generally did not hold the priesthood. When he left Jerusalem at God’s command, Lehi was aware that he and his family were forming a separate branch of the house of Israel (see 1 Ne. 15:12). Though the Book of Mormon does not explicitly state so, Lehi, like all other prophets in Old Testament times, held the Melchizedek Priesthood.

For this reason, the Nephites, without having Levites among them, could rightfully officiate in the ordinances of the law of Moses. Thus, in Book of Mormon lands, the Nephites administered the ordinances and blessings of the law of Moses before the coming of Christ and the law of the gospel after the coming of Christ by the authority of the Melchizedek Priesthood.

Also, Nephi’s consecration of Jacob and Joseph to be priests and teachers was, as Joseph Fielding Smith explained, “a general assignment to teach, direct, and admonish the people,” not an ordination to specific offices in the Aaronic Priesthood (see Answers to Gospel Questions, 5 vols., Salt Lake City: Deseret Book Co., 1957, 1:124–25).

It seems clear, then, that before Jesus Christ visited the Nephites and organized the Church in its fulness, Lehi and later Nephite prophets and Church leaders presided in various religious capacities by virtue of the Melchizedek Priesthood. In the Book of Mormon, this divine authority is referred to as “the holy order of God” (Alma 5:44; Alma 13:1; Alma 43:1–2; see also 2 Ne. 6:2).

Although the Book of Mormon does not at first glance seem to place emphasis on Melchizedek Priesthood lines as we do today, yet it is from beginning to end the record kept by the holders and administrators of that priesthood among the Nephites. Moreover, the Book of Mormon is its own best illustration of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elchizedek Priesthood holders among the inhabitants of this earth. In it we find examples of righteous men and women who allowed the Melchizedek Priesthood to bless their lives. In the words of Alma, one of the great prophets and Melchizedek Priesthood leaders in the Book of Mormon, those who were ordained to the higher priesthood were to “teach [Christ’s] commandments unto the children of men, that they also might enter into his rest” (Alma 13:6). Those who study the Book of Mormon and apply its teachings in their lives have a greater appreciation for the blessings and ordinances tha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Melchizedek Priesthood.

Gospel topics: priesthood, sacrifice

니파이 백성들은 모세의 율법에 따라(모사이야서 2:3) 희생물과 번제를 바쳤습니다. 몰몬경은 리하이가 주님의 계명에 순종하면서 그의 가족들과 함께 예루살렘을 떠났고 그들의 광야에서 3일을 여행한 다음 강가 근처 계곡에서 텐트를 치고 제단을 쌓아 희생 제물을 바쳤다는 것을 ㅣ기록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니전 2:6,7) 몰몬경에는 반복적으로 니파이 백성들이 그리스도가 오시기 전(니후 5:10, 예이롬 1:5, 앨마 30:2,3)까지 모세의 율법에 순종했음을 설명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하이가 제물과 번제를 주님께 바치고 (니전 5:9) 제단이 있는 성전을 세웠을 것입니다. (니후 5:16, 모사이야 2:3) 그러나 니파이인들은 므낫세 지파로(앨마서 10:3) 모세 율법에 따르면 레위 지파거나 아론의 후손들만이 제단 위에서 희생 제사를 지낼 수가 있었습니다. (출 28-30장, 민수기 3:7 참조)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또한 신명기 12장에서는 주님께서 특별하게 선택된 곳 이외에서는 제물을 바치거나 제단을 쌓는 일이 없도록 지시하였는데 이 구절을 근거로 하여 리하이의 모습은 그릇되다고 합니다. 어떻게 모세의 율법을 준행했던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전과 먼 지역에서 제단을 쌓고 제물을 바칠 수 있냐는 것입니다.

그런데 구약을 보면 레위 지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희생을 드린 자들의 예들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에서 탈출하여 처음으로 드린 희생 제사는 레위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시 이스라엘 백성도 아니었던 모세의 장인, 이드로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출 18:12) 리하이처럼 므낫세 지파 출신인 초기 이스라엘의 사사였던 기드온의 경우를 보십시오. 하나님에게 제단을 쌓으라고 명령을 받았을 때 그는 그곳에서 희생 제물을 바쳤고 그에 따르는 아무런 형벌도 받지 아니하였습니다. (사사기 6:24-26) 선지자 사무엘의 아버지인 엘카나는 에브라힘 지파였지만 그가 드린 희생 제물을 주님께서 받아들여졌습니다. (삼상 1:1-3) 사무엘 역시 아버지의 방식대로 했으며 주님께서 그의 제물을 받아들이셨습니다. (삼상 7:9)

당시 축복사들은 희생을 드릴 수 있는 장소가 유일한 곳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많은 지역에서 제단을 쌓고 번제를 드릴 수가 있었던 것이지요. (창세기 12:6-8, 13:18, 26:25) 축복사들 이후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를 탈출하여 광야에 머물러 있을 당시에는 운반할 수 있는 성소가 희생 제물을 위해 사용되었고 가나안을 정복하여 성전을 건축하던 시기에도 수많은 제단과 성전들이 운영되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사무엘은 라마에서 제물을 마쳤으며 (삼상 9:12-24) 사울은 길갈(삼상 10:8)과 아자론(삼상 14:35)에서 희생을 드렸습니다. 성서학자인 메네켐 하란에 의하면 "고정적인 제단은 국가 전역에서 흩어져 있었으며 제단이 없이는 사람들이 정착하지 않았다. 심지어 제단은 도시 밖에서도 발견이 되었다"고 기록합니다.(Menachem Haran, Temples and Temple Service in Ancient Israel (Oxford: Clarendon, 1978))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 외에도 하란에는 12개의 성전이 있어서 다양한 역할을 했는데 예를 들어 실로, 베델, 단, 길갈, 미즈파, 그리고 예루살렘 성전이 운영되던 시기의 아라드 지역에서도 성전이 운영되었다고 기록합니다.. (같은책 26?42)

기원전 715년에서 687년경으로 추정하는 시기가 되어서야 유다의 두 왕, 히스기야의 경우 유다에서 우상을 버리고 종교개혁을 일으키고 (왕하 18:4) 그후 요시아 왕이 (640-609년 추정) 신명기 12장에 근거하여 예루살렘만을 희생바칠 수 있는 곳으로 성별함으로서 (왕하 23:7-9, 15) "특정 지역에서만 희생이 가능하다"는 원칙이 세워지게 된 것입니다.

이처럼 니파이 백성들도 아론의 후손이 아니였지만 주님께서는 그들에게 맞는 방식을 마련해 주셨습니다. 마치 창세기 4:4에서 나오는 아벨의 희생 제물과 마찬가지로 말입니다.  아벨은 아론이 살기 이전 사람이며 당연히 희생 제물을 아론에 반차에 따른 제사들에게 전달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 스스로 제물을 가져다가 주님께 희생으로 드렸던 것입니다. 니파이인들은 아벨과 같은 아론 이전의 축복사들과 같이 그들의 희생을 바쳤을 것입니다. .

그럼 신명기 12장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먼저 신명기 12장의 일부를 인용하겠습니다.

 신명기 12장

신명기 12장에 의하면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에 들어간 뒤에 희생을 바칠 수 있는 장소는 주님께서 그의 이름을 둘 곳으로 선택하신 곳에만 해당된다는 것이다.  

“오직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너희 모든 지파 중에서 택하신 곳인 그 거하실 곳으로 찾아 나아가서 너희 번제와 너희 희생과 너희의 십일조와 너희 손의 거제와 너희 서원제와 낙헌 예물과 너희 우양의 처음 낳은 것들을 너희는 그리로 가져다가 드리고”  (신명기 12:5,6)

 “너희가 요단을 건너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기업으로 주시는 땅에 거하게 될 때 또는 여호와께서 너희로 너희 사방의 모든 대적을 이기게 하시고 너희에게 안식을 주사 너희로 평안히 거하게 하실 때에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한 곳을 택하실 그곳으로 나의 명하는 것을 모두 가지고 갈찌니 곧 너희 번제와 너희 희생과 너희 십일조와 너희 손의 거제와 너희가 여호와께 서원하는 모든 아름다운 서원물을 가져가고” (신명기 12:10,11)

“너는 삼가서 네게 보이는 아무 곳에서든지 번제를 드리지 말고 오직 너희의 한 지파 중에 여호와의 택하실 그곳에서 너는 번제를 드리고 또 내가 네게 명하는 모든 것을 거기서 행할찌니라” ( 13,14절)

신명기 12장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간 이후도 "주 하나님께서 그의 이름을 두기 위해 선택할 곳이 있음을"을 말씀하신 것이며 그처럼 성별된 지역에서는 희생과 제단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솔로몬 왕이 성전을 헌납했을 때 그는 그것을 주님께서 이름을 주신 것이라고 선언했던 것입니다. (삼상 8:29)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신명기 12장에은 주요 지역 외는 희생을 드리지 말라고 언급하지 않습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소유한 이후에도 제단과 희생, 그리고 다른 성전들은 다양한 지역에서 있었습니다. (최소한 히스기야, 므낫세, 요시아 이전) "너희 하나님이 선택하신 장소"란 개념을 예루살렘에만 국한시키지 않았습니다. (실제 신명기에서는 예루살렘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다.) 오히려 그 구절은 주님께서 선택하신 지역이면 언제든지 제단을 쌓도록 성별된 곳이란 의미로 이해됩니다. 이러한 견해에 비추어 봤을 때 희생을 위한 장소가 여러군데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A. C. Welch, "The Problem of Deuteronomy,"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48 (1929): 291?306)

신명기의 구절은 요시야왕(리하이의 동일시대 사람)이 성전에서 경전 구절을 발견하면서 그것을 근거로 예루살렘 성전에서만 가능토록 개혁을 한 것이지요. 그래서 그런지 요시야의 설명들은 신명기의 표현과 비슷하고 그 구절을 근거로 개혁운동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책에 자극을 받은 요시야 왕은 전역의 우상들을 치워버리고 비교적 성전 의식을 정화하며 높은 위치를 파하고 땅 전역의 제단들을 파괴했던 것입니다. (심지어 베델에 있는 제단마저..왕후 23장)

이 당시 요시야 왕의 개혁을 통해 희생을 드릴 장소로 예루살렘 성전만 인정되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요시야 왕의 개혁이 일어나고 그의 통치가 진행되던 시기에 리하이가 성장하기는 했지만 그에 따르는 모든 법칙들을 알 수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미대륙에서 리하이가 드린 희생 제사는 정당하였을 것입니다. 신명기 12장에서 언급한 것도 "주께서 그분의 이름을 두실 장소"를 지칭한 것이었으니 주님으로부터 선택된 땅으로 일컬음 받은 "미대륙"에서 다른 축복사들처럼 주님께 희생을 드린 것은 당연했을 것이지요.. (배문철)